![](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299508.1.jpg)
하지만 볼품없이 보이는 겉모습과는 달리 가격은 무려 324만원입니다. 100% 송아지 가죽 소재에 안감은 스웨이드로 마감했고 겉면에는 로고를 엠보싱(음각) 처리했습니다. 한 해외 패션매체에서 “내부를 들여다보기 전까지는 핸드백이 송아지 가죽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아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짚은 이 가방을 두고, “기발하다”며 창의적이란 호평과 “일반 종이봉투를 들고 다니는 것과 뭐가 다르냐”며 황당하다는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299507.1.jpg)
1일 업계에 따르면 해외 명품 브랜드들이 일상 생활용품을 본뜬 제품을 내놓는 트렌드를 넘어 아예 일상 생활용품 자체로 출시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식사를 할 때 사용하는 에르메스 그릇이나 무릎 담요인 ‘아발론 블랭킷’은 없어서 못 판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명품 마니아들 사이에선 베스트셀러가 됐습니다.
실제로 루이비통은 아령(덤벨)이나 보드게임용 젠가를 내놓아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구찌는 지우개·공책·소파·의자 등 학용품이나 생활용품을 판매합니다. 프라다의 반려견용 우비, 몽클레르의 강아지 패딩, 고야드의 개 밥그릇도 애완용품 시장에서 유명합니다.
앞서 발렌시아가는 쓰레기 봉지처럼 보이는 200만원대 가방 ‘트래시 파우치’를 내놔 이목을 끌었습니다. 비닐봉지 대신 부드러운 송아지 가죽으로 만든 이 가방은 누가 살까 싶지만 일부 색상은 품절되는 등 인기를 끌었습니다. 3달러짜리 미국의 유명 감자칩 ‘레이즈’와 협업해 마치 과자봉지 같은 디자인의 257만원짜리 가방을 선보인 적도 있습니다. 역시 제품에 적힌 로고를 유심히 들여다보지 않으면 감자칩인지 클러치백인지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299503.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4/01.33299504.1.jpg)
명품업체는 ‘평범한 것’도 명품 패션이 될 수 있다고 하지만, 수백만원짜리 가격에 비해 지나치게 일상적인 디자인은 여전히 논란의 대상입니다. 다만 판매는 생각보다 원활히 이뤄지는 양상입니다.
한 명품 브랜드 관계자는 “일부 고객들은 이 비싼 일상용품들이 팔릴까 의문이겠지만 생각보다 판매가 잘 되는 품목들”이라고 소개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부유층이나 명품 마니아들은 명품 브랜드들의 일상용품을 일반 대중들과 ‘구분짓기’ 형태로 소비한다”며 “가방, 신발 등 외부로 잘 드러나 대중도 많이 가진 품목들과 달리 ‘쉽사리 고가 제품을 소비하지 못하는 개인적 일상 품목까지 명품을 소비할 만한 재력이 있다’는 만족감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