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01.29933588.1.jpg)
신세계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524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6.8% 감소했다고 10일 공시했다. 이는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1분기 신세계 영업이익 컨센서스(국내 증권사 전망치 평균) 1553억원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1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각각 11.5%, 14.8% 줄어든 1조5634억원, 1286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 심리 위축 속 백화점의 성장세가 다소 둔화된 점, 자회사의 경우 일부 브랜드 철수와 원자재 가격 상승 부담분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광주·대구·대전 별도법인을 포함한 백화점 사업의 매출은 6.1% 증가한 620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 매출증가율(18.7%)과 비교하면 뚜렷하게 둔화된 추세다. 1분기 영업이익은 9.2% 감소한 110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최대 성과 달성에 대한 특별격려금 지급, 물가 상승에 연동된 관리비 등 증가가 이익 감소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신세계는 전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01.29933589.1.jpg)
지난해 유례 없는 고성장세를 나타낸 명품 부문도 다소 힘이 빠진 모습이다. 별도 기준 백화점 실적에서 여성(매출증가율 11%), 스포츠(11%), 아동(11%), 식품(12%) 등이 선전했지만 매출 성장을 이끈 명품(3%) 부문 성장률 둔화가 두드러졌고, 생활(-6%)의 경우 역성장했다. 앞서 지난해 1분기에는 명품 부문 매출 증가율이 30%에 달하며 전체 실적 성장을 이끈 바 있다.
신세계는 "위축된 소비심리 속에서도 백화점의 외형 성장과 디에프(면세점) 등 연결 회사의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자평했다.
연결 회사 중에서는 면세점을 운영하는 디에프와 호텔 사업을 하는 신세계센트럴시티 실적이 개선세를 나타냈다.
신세계디에프의 1분기 영업이익은 243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개별여행객(FIT) 매출 상승과 지난해 특허수수료 50% 감면 환입 효과가 반영됐다. 매출은 33.8% 감소한 5112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신세계센트럴시티의 경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1.2%, 42.5% 급증한 843억원, 218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최대 실적을 거둔 신세계인터내셔날의 경우 패션부문의 일부 브랜드 종료 여파 등으로 1분기 실적이 뒷걸음질쳤다.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9%, 11.4% 감소한 3122억원, 103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패션사업부의 소싱 사업 정리와 해외패션 사업부 내 일부 브랜드 계약 종료 영향이 컸다. 다만 화장품 부문(16.8%)과 국내패션부문(11.2%) 매출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가구 사업을 하는 신세계까사는 부동산 시장 위축과 함께 매출이 28% 감소한 527억원을 기록했다. 8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신세계 관계자는 "공간 혁신과 온라인 콘텐츠 강화를 통해 체질을 강화하고 성과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01.30587592.1.jpg)
한발 앞서 실적을 발표한 현대백화점 역시 백화점 실적 성장 둔화 흐름이 포착됐다. 지난해 5월 인수한 가구·매트리스 업체 지누스 실적을 제외하면 올해 1분기 매출은 7%가량 감소했다. 1분기 영업이익은 12% 감소한 779억원으로 집계됐다.
백화점 사업부 매출은 5% 증가한 5727억원을 거뒀으나 영업이익은 952억원으로 7% 감소했다. 지난해 1분기 현대백화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바 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