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세계의 공장'도 인도에 뺏길 위기

입력 2023-05-10 18:03   수정 2023-05-11 01:32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세계의 공장’ 중국의 경쟁자로 인도가 부상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계 기업들이 미·중 갈등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에 더해 다른 지역으로 생산 거점 등을 다변화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을 채택하는 가운데, 인도가 ‘플러스 원’에 적합한 나라로 떠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WSJ는 인도의 경쟁력이 중국과 비슷한 규모의 인구와 내수 시장에서 나온다고 짚었다. 유엔인구기금(UNFPA)은 올해 중반 인도 인구(14억2860만 명)가 중국(14억2570만 명)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유엔 경제사회처(DESA)는 지난달 말 역전됐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 과거 영국의 식민지였기 때문에 영어 소통이 어느 정도 원활하고, 민주주의 국가라는 점도 서방 기업이 인도에 관심을 갖는 요인이다. 인도 정부 역시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도에 주목하는 대표 기업 중 하나는 애플이다. 애플의 최대 협력업체인 대만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은 인도의 기술 허브 벵갈루루시 외곽 데바나할리에 120만㎡ 규모 토지를 매입했다. 아이폰 생산 공장이 들어설 가능성이 있다. 애플은 지난달 18일 뭄바이에 첫 오프라인 매장을 연 데 이어 20일에는 뉴델리에 2호점을 개점했다. 덴마크의 풍력 터빈 제조업체인 베스타스는 2021년 인도 스리페룸부두르에 공장 2개를 새로 지었다.

신정은 기자 newyearis@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