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AA.33405166.1.jpg)
1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의 올해 재정자주도는 74.1%로, 2년 전인 2021년(70.8%) 대비 3.3%포인트 높아졌다. 재정자주도는 지자체 전체 재원 중 지방세와 세외수입 등 자체 재원과 정부가 주는 지방교부금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전체 재원 중 자체 재원 비율을 뜻하는 재정자립도와 함께 지방재정 핵심 지표로 쓰인다. 지방교부금을 제외한 재정자립도는 올해 50.1%로, 2021년(48.7%) 대비 1.4%포인트 높아지는 데 그쳤다.
재정자주도와 재정자립도 상승 폭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이 기간 지방교부금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지방교부금은 내국세 수입의 19.24%와 종합부동산세 전액으로 구성된 지방교부세와 내국세의 20.79%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으로 나뉜다. 올해 지방교부금은 155조4217억원으로 2021년보다 33조3202억원 늘었다. 2021, 2022년 2년간 본예산 대비 세수가 118조원 더 걷히면서 이 중 상당액이 올해 지방교부금으로 넘어왔다.
지자체와 교육청이 잇따라 추경을 편성할 수 있게 된 것도 정부에서 넘어온 지방교부금이 늘어난 덕분으로 분석된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가 쌓아놓고 쓰지 않은 여유 재원(순세계잉여금)만 2021년 기준 28조8753억원에 달한다.
정부는 추경을 비롯한 지자체 예산에 과도한 선심성 사업이 포함돼 있다고 지적한다. 지자체의 현금성 복지정책은 초등학생 용돈을 비롯해 소풍비, 어르신 효도비, 입학 축하금, 출산장려금, 난방비 지원금 등 종류도 다양하다.
충북 단양군은 올해부터 관내 고등학교 졸업 후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에게 인당 100만원의 입학축하금을 지원하고 있다. 전남 강진군은 작년 10월부터 조건 없이 자녀 한 명당 만 7세까지 매달 60만원씩 504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출산지원금을 준다.
상당수 지자체가 이번 추경안에 수십억원 규모의 지역상품권 지급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았다. 행안부에 따르면 전국 243개 광역·기초지자체 중 올해 현금성 복지 비율이 전체 예산의 40%를 넘는 지자체는 28곳에 달한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