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이 지경이 된 데는 이재명 대표의 책임이 크다. 돈봉투 사태도 3주 넘게 방치하다 송영길 전 대표의 탈당 꼬리 자르기로 미봉이 돼 버렸다. 돈봉투를 받은 민주당 의원이 20여 명에 이른다는 말까지 나오는데도 진상조사는 더 이상 이뤄지지 않으면서 이들은 당 차원에선 면죄부를 받은 셈이 돼 버렸다. ‘김남국 코인 사태’도 미적대다 여론이 돌이킬 수 없이 악화하자 뒤늦게 진상조사와 윤리감찰 지시를 내리는 등 법석을 떨었지만, 김 의원의 탈당으로 버스는 지나가 버렸다. 하기야 이 대표부터 수많은 범죄 의혹으로 겹겹의 사법 리스크에 갇혀 있는 판에 다른 사람에게는 엄정한 잣대를 들이대기 어려운 애처로운 처지에 몰려 있다. 민주당은 진상조사는 계속하겠다고 했지만, 이미 당적을 버린 의원을 상대로 얼마나 파헤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 대표는 “강력한 혁신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으나 시작부터 힘이 빠지는 모양새다. 당내에서조차 재신임 주장이 제기된 데 이어 “어느 순간엔 이 대표 스스로 거취를 정하고 결단을 내려줬으면 좋겠다”는 말까지 나오는 실정이다. 이 대표도 가상자산 관련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 대선 과정에서 ‘P2E(돈 버는 게임)는 위험한 폭탄’이라는 특보단 의견을 무시하고 “P2E 반대는 쇄국 정책”이라며 허용 주장을 펴 입법 로비 의심을 키우고 있다. 민주당이 처한 위기의 본질은 ‘이재명 리크스’다. 대표부터 리스크를 잔뜩 안고 리더십을 발휘하기 힘든 마당에 어떻게 쇄신과 수습을 할 수 있겠나.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