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비 급등 여파로 업계 안팎에선 가격 상승폭이 10% 이상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정부는 수입 조사료에 대한 할당관세 물량을 대폭 늘리는 등 물가 방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AA.33483378.1.jpg)
우유 품질에 따라 농가에 주어지는 인센티브를 감안해 유업체들이 지급하는 원유 가격은 지난 3월 기준 L당 1164원이다. 올해 생산비 증가분을 반영하면 원유 가격은 L당 1300원을 넘어설 수 있다. 인건비, 운송비 상승분까지 합치면 L당 3000원 수준인 우유 소비자 가격이 10% 이상 오를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생산비 변동이 가격에 즉각 반영되는 미국과 유럽은 지난해 원유 가격이 30% 넘게 올랐다”며 “연 단위로 가격을 정하는 한국은 그 여파가 1년 늦게 찾아오는 구조”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그나마 정부의 낙농제도 개편이 가격 상승폭을 줄여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생산비 증감에만 연동돼 있던 원유 가격 결정 체계를 수요도 반영할 수 있게 바꿨다.
개편 전까진 생산비 변동만 반영해 증가분의 90~110% 내에서 가격 인상폭을 결정했다. 올해부턴 우유 수요 증가 또는 감소폭이 전년 대비 1.7% 이내면 60~90%, 감소폭이 1.7%를 넘으면 -30~70%, 증가폭이 1.7%를 넘으면 80~120% 사이에서 협상할 수 있게 구간을 세분화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는 수요 변동이 작아 생산비 증가분의 60~90%만 반영될 전망”이라며 “기존 제도 대비 상승폭이 20% 이상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농가의 생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올해 조사료 0% 할당관세 물량을 평년 대비 50만t 많은 130만t으로 늘렸다. 농가의 사료 구매와 관련한 1조5000억원 규모의 저리구매자금(금리 연 1%, 상환기간 5년)도 지원하고 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