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 올들어 벌써 23차례 줄였다

입력 2023-05-30 18:09   수정 2023-05-31 01:18

올 들어 원자력 발전소에 대한 강제 출력감소 횟수가 23회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연간 출력감소 횟수(4회)의 6배다.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들쑥날쑥한 신재생 발전설비가 급증하자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신재생 발전소뿐만 아니라 원전출력까지 조절한 데 따른 것이다.

30일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5월 24일까지 전국 원전 출력제어(출력감소)는 총 23차례 이뤄졌으며 이를 통해 줄어든 원전 발전량은 4130㎿에 달했다.

작년까지만 해도 원전 출력제어는 전력 수요가 급감하는 설날·추석 등 연휴에만 실시됐다. 2021년엔 설·추석 연휴기간 세 차례에 걸쳐 출력제어가 이뤄졌고, 이를 통해 줄어든 원전 발전량은 900㎿였다. 지난해엔 설(새울 1·2호기, 500㎿)과 추석(새울 1호기·신한울 1호기, 200㎿) 연휴에 네 차례 출력제어가 이뤄졌고, 700㎿를 줄였다.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설 연휴가 낀 지난 1월 550㎿ 출력제어 이후, 3월 19일 한빛 1·2·3·6호기(전남 영광), 신고리 2호기(부산 기장), 새울 2호기(울산 울주)가 총 980㎿의 출력을 줄였다. 3월 26일과 4월 2일엔 한빛 원전 2·3·6호기가 총 820㎿를 출력제어했다. 4월 9일에도 한빛 2·3·6호기, 신고리 2호기가 680㎿의 발전량을 줄였고, 4월 30일엔 한빛 3·6호기, 새울 2호기, 신고리 2호기, 신월성 1호기(경북 경주)가 총 1100㎿의 발전을 줄였다. 전국 곳곳의 원전에서 출력 제어가 빈번하게 이뤄진 것이다.

이는 수요가 많은 수도권 등으로 전력을 보낼 송전망이 제한된 상황에서 신재생 에너지 발전이 급속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출력제어가 집중된 한빛 원전과 송전망을 공유하는 호남 지역의 신재생 발전설비 용량은 매년 3월 기준 2021년 6885㎿에서 지난해 8646㎿, 올해 1만183㎿로 빠르게 늘었다. 그러나 송전선로 건설은 주민 반대 등으로 지연되고 있다.

문제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원전 발전단가의 4배에 달한다는 점이다. 올해 1분기 한국전력은 원전에서 생산된 전력을 ㎾h당 46.2원을 주고 구입했는데, 신재생 전력은 구매단가가 197.7원에 달했다. 이 때문에 신재생 발전이 늘수록 한전의 적자도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노동석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연구원은 원전 출력제어에 대해 “고속도로에서 100㎞에 달릴 수 있는 차를 30~50㎞로 억지로 줄이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당연히 차 연비(원전 운영비용)가 나빠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박한신/이슬기 기자 phs@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