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원 IP 전문 투자·매니지먼트 기업 비욘드뮤직은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로부터 2000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유치했다고 31일 밝혔다. 비욘드뮤직의 누적 자산운용액(AUM)은 5000억원에 이른다.
비욘드뮤직은 2021년 말 프랙시스 등으로부터 2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2만7000곡이 넘는 국내 최대 음원 포트폴리오를 구축했다. 김현식, 전인권, 박효신, 성시경, 아이유, 태연 등 1990년 이전부터 2010년대까지 시대를 풍미한 가수들의 유명 음원을 확보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존 레전드의 ‘네버 브레이크’, 두아 리파의 ‘가든’, 원리퍼블릭의 ‘어팔러자이즈’ 등 글로벌 아티스트들의 음원 IP를 다수 매입하며 해외 음원 IP 시장까지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 관계자는 “비욘드뮤직의 음원 포트폴리오는 장르의 다양성, 보유 곡 규모, 인지도 등 어떤 기준을 적용해도 국내에서 전례를 찾기 어려운 독보적인 자산"이라며 "국내에서 이런 규모로 포트폴리오를 갖춘 기업이 다시 등장하기는 어려울 정도”라고 평가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01.31291556.1.jpg)
이장원 비욘드뮤직 대표(사진)는 “기존의 주먹구구식 음원 IP 가치평가가 아닌 전문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을 토대로 우수한 음원 IP를 적극적으로 사들이고 있다"며 "유동화를 고려하는 IP 보유자에게 자금력 및 거래 종결성 측면에서 대체 불가한 매입처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한국 최대를 넘어 아시아 최대 음원 IP 투자 및 매니지먼트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욘드뮤직은 음원 IP 매입에만 그치지 않고, 보유 음원 IP의 가치 제고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안녕의 ‘해요’는 2001년 발매된 정인호 곡의 리메이크로 호응을 얻었으며, 라붐의 ‘상상더하기’는 SNS에서 숨은 명곡으로 화제가 되면서 차트 역주행에 성공했다.
이 같은 비즈니스 모델은 '바이 앤 빌드' 방식이다. 우량 음원 IP 카탈로그를 대규모로 매입하고, 적극적인 가치 제고 활동을 통해 보유 IP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식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5/01.33592154.1.png)
2006년 미국 뉴욕에 설립된 음원 IP 관리·유통기업 프라이머리 웨이브도 비욘드뮤직과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다. 이 회사는 발매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지난 구보 가운데 현금창출력이 검증된 음원 IP를 주로 매입하고, 보유 음원 IP의 가치 제고에 집중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프라이머리 웨이브는 2016년 블랙록으로부터 약 3억달러를 투자받은 이후, 2021년 오크트리캐피탈로부터 3억8000만달러, 2022년 브룩필드로부터 17억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