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스미스는 한국에서 심각하게 도전받고 있다. 전임 정권에선 소득주도성장, 최저임금 인상,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반시장적 정책이 홍수를 이뤘다. 최근에는 국회를 장악한 야당을 중심으로 노조 편향의 불법파업 조장법, 쌀 농가를 잡기 위해 농업을 파괴하는 양곡법, 국민의 기본적 삶을 국가가 지원한다는 기본소득 등 대중 인기에 영합한 포퓰리즘 입법이 폭주하고 있다. 이는 ‘보이지 않는 손’을 마비시켜 자유시장 질서를 파괴하는 것은 물론 대의민주제를 왜곡하고 사회 분열을 초래해 민주주의까지 흔든다는 지적이다.
한국은 기로에 서 있다. 미·중 패권 경쟁 등으로 국제 질서의 큰 틀이 바뀌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은 전방위에서 혁명적 변화를 예고한 상황이다. 이런 때일수록 우리의 국가적 정체성을 확고히 다잡아야 한다. 자유 가치를 기반으로 과도한 국가 개입을 줄이고 규제 전반을 네거티브 시스템으로 바꿔 활력과 혁신을 촉진해야 한다. 동시에 자생적 사회 질서를 회복하고 정치가 이념에 따라 전횡할 수 있는 영역을 제거해 나가야 한다. ‘자유 경제만이 경제는 물론 정치·사회의 번영을 담보한다.’ 애덤 스미스가 지금 한국 사회에 던지는 엄중한 메시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