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물가 2년 2개월來 최저…"금리동결 확실시"

입력 2023-06-14 01:26   수정 2023-06-14 01:27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11개월째 내림세를 지속해 2년2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이 한층 뚜렷해지면서 미 중앙은행(Fed)의 6월 금리 동결 시나리오가 거의 확정시되는 분위기다. 다만 물가 수준이 여전히 Fed 목표치인 2.0%의 두 배에 이르는 데다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한 근원 CPI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금리 동결 확률 96%로 치솟아
미 노동부는 13일 5월 CPI가 전년 동기 대비 4.0%(연율 기준) 올랐다고 발표했다. CPI 상승률은 지난해 6월 40년 만에 최고치인 9.1%까지 뛰었다가 11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달 수치는 2021년 3월(2.6%) 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에너지 가격이 1년 전 대비 11.7% 떨어지면서 물가 상승 속도를 끌어내렸다. 연료유 가격 하락폭이 37.0%로 컸고, 가솔린 값도 19.7% 내렸다. 팬데믹 이후 불어온 ‘보복 소비’가 완화되면서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항공료와 호텔 숙박료 등이 정체된 상태”라고 전했다.

5월 CPI는 월가 전망치(4.0~4.1%)에 부합했다. 바로 전날 미국의 1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이 2021년 5월 이후 최저치인 4.1%로 발표되면서 시장에선 물가 하락 기대감이 이미 커진 상태였다. CNBC는 이를 두고 “고용시장이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자들이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해소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이로써 1년 넘게 ‘물가와의 전쟁’을 벌여온 Fed는 한층 부담을 덜게 됐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16년 만의 최고 수준인 연 5.0~5.25%다. Fed가 지난해 3월부터 10회 연속 긴축 가속페달을 밟은 결과다.

시장은 이날부터 14일까지 이틀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Fed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가 집계한 금리 동결 확률은 5월 CPI 발표를 기점으로 96.5%까지 치솟았다. 반면 금리 인상 가능성은 4.7%까지 내려갔다. 전날 뉴욕증시에서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가 나란히 13개월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것도 긴축 종료 기대감에서 비롯됐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이날도 나란히 상승 출발하며 강세장을 이어갔다.

번스 매키니 NFJ인베스트먼트그룹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투자자들은 Fed의 금리 인상 중단을 고대해왔고, 한발 앞서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전히 ‘끈적한’ 근원 CPI
다만 근원 CPI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점이 부담이다.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을 제외하고 산출한 근원 CPI는 지난달 전년 대비 5.3% 올랐다. 시장 예상(5.2~5.3%)대로였다. “일시적 변동 요인을 빼고 보면 물가가 여전히 높은 수준에서 끈적하게(sticky) 버티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거비가 8.0% 올랐고, 외식 물가 상승률도 8.3%로 높게 나타났다. 씨티그룹은 근원 CPI 오름세가 “11회 연속 금리 인상을 가능하게 할 만큼 충분히 강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헤드라인 CPI의 진정세가 뚜렷한 만큼 Fed가 긴축 사이클을 이어가더라도 이번 FOMC에서는 한 차례 쉬어갈 것이란 견해에 힘이 실린다. 이른바 ‘매파적 건너뛰기(hawkish skip)’다. 물가 예측기관인 인플레 인사이트의 오마이르 샤리프 창업자는 “물가가 너무 더디게 잡히고 있다는 것이 문제”라며 “Fed 내에선 아직도 긴축 사이클을 얼마나 더 지속해야 할지를 두고 이견이 많다”고 말했다.

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