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711289.1.jpg)
“한국 중소벤처기업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등으로 뻗어나가 ‘제2의 중동 붐’이 가속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최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이같이 각오를 다졌다. 요즘 이 장관은 중동 각국을 돌며 국내 중소·벤처기업 및 스타트업의 ‘영업사원’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이 장관의 중동 방문은 올 들어 세 번째다. 3월에는 UAE 두바이에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거점 역할을 할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를 열었다. 지난 13일에는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린 GBC 현판식에 참석했다.
이처럼 중동에 공을 들이는 것은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위한 수출 활로를 뚫기 위해서다. 이 장관은 특히 중동을 여러 차례 방문하면서 현지 국가와 신뢰를 쌓았다.
성과도 적지 않다. 사우디 정부로부터는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의 파격적인 규제 완화를 약속받았다. 사우디 정부는 리야드 GBC 입주기업에 사업자등록 허가 및 절차를 간소화하고, 법인 설립 지원 등을 통해 현지 정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네옴시티 건설 등에 참여하는 국내 중소기업에 더 많은 기회의 장을 열어줬다는 평이다.
지난 11일에는 사우디가 주요 출자자로 참여한 1억6000만달러(약 2084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는 협약도 체결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윤석열 대통령이 방한한 사우디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회담하면서 처음 언급됐고, 이 장관이 이어받아 올해 1, 3월 꾸준히 접촉하며 매듭지은 결과물이다.
중동 국가들도 중기부가 꾸준하게 중동 개척 노력을 지속하는 것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칼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팔레 사우디 투자부 장관은 “한·사우디 협업으로 3개월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낸 것이 자랑스럽다”며 “사우디와 한국 간 긴밀한 협업은 국경을 뛰어넘은 좋은 협력의 롤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중동뿐 아니라 미국과 일본에서도 수출 및 기술 교류 등의 성과를 봤다. 지난 4월 대통령의 미국 순방에 동행해선 최대 5500억원 상당의 기술 수출을 포함해 10건의 업무협약을 맺었다. 지난달에는 한류 문화 랜드마크 행사인 케이콘(KCON)과 연계해 국내 기업 수출 상담회 및 판촉전을 일본 도쿄에서 열었다. 지난 정부에서 얼어붙었던 한·일 관계가 훈풍을 타면서 중소벤처기업 간 교류도 다시 왕성해지는 계기가 됐다는 분석이다.
최형창 기자 calli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