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정부 관계자는 “권익위가 국공립대를 대상으로 반부패 규범 운영실태 등 전수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권익위가 올 1월 발표한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 따르면 33개 국공립대의 평균 종합청렴도는 75.2점으로 전체 공공기관(501개) 평균인 81.2점보다 6점이나 낮았다.
국공립대는 청렴체감도(77.6점) 중 ‘연구 및 행정(조직 내부 운영)’ 영역에서 72.6점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부패 인식에 대한 체감도 점수가 낮은 데다 부패 경험에 따른 감점 폭이 컸기 때문이다. 연구·행정 관련 부패 인식에서는 ‘연고 관계 및 사적 이해관계 등을 통한 특혜 제공’(71.4점)이 다른 항목 평균(78.9점)에 비해 크게 낮았다. 부패 경험에서도 ‘연구비 횡령·편취 빈도’(69.4점), ‘연구비 횡령·편취 경험률’(63.9점), ‘금품 등 요구·수수·약속 빈도’(52.3점), ‘조직 내부 운영 과정에서의 금품 등 요구·수수·약속 경험률’(47.5점) 등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서울대와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연구 중심 대학들은 청렴체감도 점수가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권익위는 최근 연구비로 냉장고와 건조기 등 개인 물품을 구입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교수의 횡령 혐의를 조사해 경찰에 넘겼다.
대학가에서는 이번 권익위 조사 시점이 윤석열 대통령의 교육개혁 강조와 맞물렸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정부가 대학 안팎의 벽을 허무는 혁신적인 대학들을 전폭 지원하라”고 지시했다. 권익위 청렴도 조사에서 최하위(5등급)를 기록한 강릉원주대는 교육부의 ‘글로컬대학’ 사업에 지원하면서 강원대와 통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오형주/강진규 기자 ohj@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