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810588.1.jpg)
“억대 광고보다 강력한 소비자 입소문을 잡아라.”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810547.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810571.1.jpg)
연령별로 보면, 10대는 브랜드치킨전문점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20~30대는 국산맥주와 다이어트식품, 40~50대는 생활의료가전과 건강증진센터 등에서 강한 입소문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전 연령대의 일상적 채널로 자리매김하면서 이를 통한 추천 비율이 작년보다 높아졌다.
엔데믹 이후에도 생활의료가전, 상처·흉터치료제, 건강증진센터 등 건강 관련 산업군 상당수가 높은 입소문을 탔다. 브랜드치킨전문점은 환경 변화에 큰 영향 없이 높은 추천 비율을 유지했다. 신용카드 산업은 지난해 대비 추천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단종 카드가 늘면서 새로운 카드를 찾는 소비자 사이에서 입소문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814588.4.jpg)
KMAC는 “경험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강화하고, 적극적으로 입소문을 일으키는 팬덤을 형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기동 KMAC 사업가치진단본부장은 “엔데믹을 맞아 오프라인 활동이 회복되면서 ‘경험’의 중요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며 “브랜드 가치를 담은 경험 제공을 통해 소비자와의 접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KMAC는 다양한 공간에서 끊임없이 발생하는 소비자의 목소리에 적극적으로 귀 기울여야 한다는 제안도 내놨다.
김일규 기자 black0419@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