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815400.1.jpg)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관련한 명확한 공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기업의 ESG 공시 수준이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충분히 부합하지 않는다.” (최종원 연세대 교수)
“산업별로 차이 없이 ESG 공시 품질이 높아질수록 기업가치가 상승한다.” (조용언 동아대 교수)
국내 회계 전문가들은 26일 제주 라마다프라자호텔에서 열린 ‘2023년 한국회계학회(KAA) 국제학술대회’에서 ESG 공시 품질을 높여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2025년 대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두고 ‘무늬만 ESG’인 공시를 하거나 ‘그린워싱(위장환경주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적으로 ESG에 대한 통일된 공시 기준이 없다는 문제점도 거론됐다. 보여주기식 ESG 공시가 아니라 품질 높은 ESG 공시가 늘어야 기업 가치가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최 교수는 “연구 결과 일반적인 ESG 공시율은 기업 가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며 “중요성에 입각한 ESG 공시율이 높을수록 기업 가치가 상승한다”고 강조했다. ESG 공시의 양보다는 품질이 더 중요하다는 의미다. 국내 기업에 외국인 투자자나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가 등이 주요 주주로 참여하면 ESG 공시가 늘어나지만 품질은 낮아진다고도 했다. 최 교수는 “주요 주주의 요구에 맞춰 공시량을 늘렸지만 깊이 분석해보면 그린워싱으로 보이는 ESG 공시가 다수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ESG 공시 품질 향상을 위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거나 규제할 필요성도 거론됐다. ESG 공시 평가 기관들의 모니터링 중요성도 언급됐다. 최 교수는 “만약 외국인 투자자나 국민연금 등이 ESG 공시와 관련해 충분한 모니터링 능력을 지니고 있다면 기업들이 ESG 공시 품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아직 전 세계적으로 ESG에 대한 통일된 공시 기준이 없는 것도 문제점”이라고 지적했다. 투자자들이 필요로 하는 ESG 관련 정보들을 기업이 정확히 모르고 있다는 의미다.
산업별 구분 없이 공시 품질이 좋으면 기업 가치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됐다. 조용언 교수는 ‘ESG 공시 품질과 기업 가치 관련성’ 연구논문 학술발표에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자발적으로 지속가능보고서 및 통합보고서를 연속적으로 공시한 56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동훈 기자 leed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