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27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시그니아힐튼호텔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23’을 열고 2나노 양산 계획을 밝혔다. 삼성전자가 구체적인 2나노 양산 계획을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은 기조연설에서 “인공지능(AI) 혁명이 전 산업에서 새로운 시대를 열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AI 반도체에 가장 최적화된 트랜지스터 기술을 계속 혁신해 AI 기술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서 삼성전자는 2나노 공정 로드맵을 설명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 나노란 반도체 회로 선폭을 의미한다. 회로 선폭이 미세할수록 더 좋은 성능의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다. 이 회사에 따르면 2나노 공정은 3나노 대비 성능은 12%, 전력효율은 25% 높다. 삼성전자는 TSMC에 비해 파운드리 사업을 늦게 시작했지만, 최첨단 공정으로 TSMC와의 격차를 좁힐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는 8인치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 파운드리 서비스를 2025년 시작한다는 계획도 이날 처음 공개했다. GaN은 차세대 전력반도체로, 실리콘 반도체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해 성능 개선과 전력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강점이다. 또한 ‘셸 퍼스트’ 전략을 통해 2027년 클린룸(생산능력)을 2021년 대비 7.3배로 확대해 늘어나는 고객 수요에 대비할 계획이다.
실리콘밸리=최진석 특파원 iskr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