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846222.1.jpg)
이 원장은 이날 “최근 카드사 등 제2금융권이 연체율 상승 등으로 위험 관리에 나서면서 소상공인 등 중저신용자에 대한 자금 공급이 과도하게 축소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카드사 등은) 합리적인 여신심사를 통해 서민에 대한 자금 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도 충실히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 원장이 제2금융권 행사를 찾은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앞서 은행권은 이 원장이 방문할 때마다 ‘상생 금융 보따리’를 풀었다. 이날 우리카드가 카드사 중 처음으로 지원 방안을 내놓으면서 카드업권 전체가 긴장하는 분위기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조달금리 상승과 결제사업 불황으로 업권 전체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은행처럼 예대마진을 통해 이윤을 가져오기 힘든데 상생 금융 압박까지 들어온다면 실적 부진이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올해 1분기 7개 전업 신용카드사(신한·국민·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의 합산 당기순이익은 5725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24.4% 줄었다.
시장 점유율과 실적 기준으로 카드업계 하위권인 우리카드가 가장 먼저 상생 금융안을 내놓은 것을 두고도 뒷말이 나온다. 금융권에선 금융위원장 출신인 임 회장이 당국 방침에 적극적으로 발맞추면서 우리카드가 총대를 멘 것 아니냐는 시각이 많다.
최한종/이소현 기자 onebe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