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842977.1.jpg)
김성순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 전무(사진)는 29일 “부자의 빌딩 투자 방정식이 바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1917년 미국 뉴욕에서 설립돼 60여 개국에 진출한 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기업이다. 김 전무는 삼성전자와 PwC컨설팅을 거쳐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에서 리테일본부를 이끌고 있다.
부자의 타깃이 변한 건 고금리와 경기 침체 때문이다. 명동이나 청담동 같은 서울 핵심 지역의 건물 수익률은 2~3% 수준이다. 만약 연 5% 금리로 빌딩 거래 가격의 절반을 대출받았다고 가정하면 이자 비용만 2.5%가 나온다. 세금이나 하자보수 등 각종 부대 비용까지 합치면 실질 수익률은 오히려 마이너스다.
서울 외곽지역에선 수익률이 5~6%에 달하는 빌딩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트라우마’ 때문에 투자를 망설이는 자산가가 적지 않다. 입지가 다소 떨어지는 곳은 경기 침체 때 소상공인과 자영업자가 버티지 못하고 나가 공실이 발생하거나 임대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등 리스크가 크다는 것을 두 눈으로 확인했기 때문이다.
김 전무는 “대출 없이 투자하려는 자산가가 늘다 보니 선택지가 100억원대 중소형 빌딩으로 줄어들고 있다”며 “핵심지에 신용도 높은 임차인이 들어 있는 건물 선호도가 높아지는 등 안전 투자 성향이 짙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암호화폐 및 주식시장 활황과 코로나19를 거치며 ‘현금 부자’가 더 많아진 것도 한 요인이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중소형 건물에 대한 개인투자자의 관심이 커지는 트렌드를 반영해 지난해 전담 조직인 PCMS팀을 꾸리기도 했다.
김 전무는 비교적 적은 돈으로 빌딩 투자를 할 수 있는 방법과 노하우도 소개했다. 10억원 이하 자본으로 투자가 가능한 분양형 상가가 대표적이다. 김 전무는 “상가 내 위치보다 중요한 게 해당 상권의 성장성”이라며 “아파트 가구 수 대비 상가 비율이 높은 곳이나 상업용지가 한꺼번에 들어오는 신도시는 조심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상권 전문가인 김 전무는 유망 상권으로 성수와 한남을 꼽았다. 그 이유로 “‘힙’하면서도 럭셔리(명품) 브랜드가 선호하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신당동이나 남영동 등도 발전 가능성이 높은 상권이라고 봤다.
이인혁/이유정 기자 twopeopl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