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6/AA.33844693.1.jpg)
챗GPT로 대변되는 인공지능(AI)의 등장으로 인재의 정의가 달라지고 있다. 주어진 직무에 충실한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스스로 문제를 만들고 해결해내는 능력이 중요해졌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미래 세대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오는 11월 1일 개막하는 세계 최대 인적자원(HR) 포럼 ‘글로벌 인재포럼 2023’을 앞두고 29일 서울 한남동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자문위원회 정례회의에 참석한 각계 전문가들은 AI의 등장과 산업, 학문 간 경계가 희미해지는 빅블러(Big blur) 시대에 인재상 변화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기초학문의 중요성도 논의됐다. 이호영 창원대 총장은 “기초학문이 없으면 AI와 빅블러도 없다”며 “기초학문을 갖춘 인재를 키우는 대학에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헌영 강원대 총장은 “융합 교육을 하는 한편 협동 교육, 기초학문 교육도 부족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철학적 사고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챗GPT는 대답을 할 수 있지만 철학적 사고에 바탕을 둔 질문은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진옥동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앞으로 신한금융그룹 입사 시험은 질문을 주고 답하게 하지 않고, 자료를 주고 질문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방란 한국교육개발원 원장은 “AI 시대에 나만 뒤처질 것 같다는 불안감, 기계에 의존하게 될 것이라는 두려움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윤리, 제도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AI 시대를 이끌 인재를 키워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AI를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대응법을 찾기보다는 AI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을 어떻게 기를 것인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과 기업의 협력 강화, 글로벌 인재 도입 등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배상근 전국경제인연합회 전무는 “한국경제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 분야에서 필요한 인력의 30%가 부족하다”며 “이를 보충하기 위해 성균관대-삼성, 서울대-삼성 모델 같은 산업 협력 모델을 더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신균 LG CNS 대표는 “대학에서부터 글로벌 인재를 확보하고 이들이 산업계에 투입돼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 혁신에 대한 다양한 의견도 제시됐다. 장제국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은 “대학 혁신 모델로 꼽히는 미네르바대학도 한국에서는 불법인 교육 방식이 많다”며 “적극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했다.
강영연/권용훈/안정훈 기자 yyka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