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다. 따라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잘 적응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훌륭한 사람이 되려면 반드시 필요한게 3가지가 있다. 지식, 인성, 역량이다. 이 3가지는 조직성과에 기여하는 구성원에게도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직원 채용시에도 중요한 기준이 된다.
첫째, '지식'은 다양한 방법으로 얻는다. 교육을 통해서 얻는게 대표적이지만 책이나 인터넷을 통해서도 얻기도 하고, 스스로 경험을 통해서 얻기도 한다. 하지만 요즈음은 챗GPT를 통해서 빠르고 쉽게 많은 지식을 얻을 수도 있어서 이론 중심의 학교 교육에도 큰 변화와 혁신이 필요해졌다. 특히, 기후변화, 탄소, ESG, 헬스케어 등으로 산업 트렌드는 급격히 바뀌고 있는데, 우리의 교육현실은 아직도 암기 위주의 고교 수능성적에 따라 진로가 결정되는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식을 기반으로 사물을 깨닫고 그 인식들의 관계를 잘 파악하는 능력이 지혜다. 학교나 인터넷에서 배우는 것은 지식이며, 지혜는 대체로 난관 속에서 깨달아 습득한다. 웅진코웨이 윤석금 회장이 호텔에서 조찬 특강을 듣는데, 일본에서는 가전제품을 렌탈로 많이 판매한다는 강사의 설명을 듣고, 정수기를 렌탈로 판매하기 시작해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한다. 강사로부터 들은 지식을 기반으로 지혜롭게 사업에 적용한 것이다.
이처럼 지혜로운 사람이 되려면, 우선 지식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지식만 있다고 해서 지혜로워지는 것은 아니다. 학식이 높은 사람 중에도 지혜롭지 못한 사람이 있다.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은 지혜를 얻는데 보조 수단일 뿐이다. 지혜를 얻는데는 오히려 경험이 중요하다. 윤석금 회장은 렌탈 판매를 시작하기 전에 많은 시행착오와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렌탈 도입이 가능했던 것이다.
많이 배우고 지식이 많은 어느 선비가 배를 타고 가다 암초를 만나 죽음에 직면하였다면, 이런 경우 '지식'은 아무 쓸모가 없다. 오히려 수영을 할 줄 알고 살아남는 법을 아는 사공의 '지혜'가 훨씬 값진 것이다.
즉, 훌륭한 성과를 만드는 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평소 지식 전달 교육만 반복해서는 안되고, 더불어 실전 경험 쌓기 훈련이 절대 필요하다. 과거 삼성은 해외 지역 전문가를 양성하기위해 실제 현지에 파견하여 스스로 체험토록 했었다. 산업 트렌드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대학에서의 교육도 같은 맥락에서 혁신되어야 한다.
둘째, '인성'은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본성, 즉 성격이나 인격을 의미한다. 훌륭한 인성을 갖도록 하기위해서는 누가 가르쳐서 되는게 아니고 어려서부터 보여주는 교육이 중요하다.
선생님이 교실 내에서 예의 바른 태도를 보여주면, 학생들은 이를 따라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배려와 존중의 모습을 보여주면, 학생들도 서로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갖게 된다. 부모가 자식한테 효도하라고 말로 가르치기보다는 자신이 스스로 부모한테 효도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자식은 따라서 효도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직원들에게 고객중심으로 일하라고 말로만 강조하기보다는 기업 CEO가 스스로 고객중심으로 일하는 모습을 습관화하면 직원들은 따라 하게 된다.
요즈음 TV를 보면 매일같이 여.야 정치인들이 서로 비난만하는 내용을 보게 된다. 또 서울시내 곳곳에 정치인이나 노조단체가 걸어놓은 현수막을 보면 오로지 상대를 비난하는 보기에도 민망한 저질스럽고 낯 뜨거운 내용들이 많다. 특히, 극단적인 진보.보수 단체들은 상대를 비방하는 가짜뉴스를 만들고, 이들을 따르는 사람들은 이것을 여기저기 퍼나른다. 그래서 국민들을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게 만들기도 한다. 젊은 청소년들은 이것을 보고 자란다. 너무 안타깝다.
표현의 자유가 중요하지만 도를 넘는 이런 행위들은 반드시 규제되어야 할 것이다. 상대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없이 오로지 자기 주장만 옳다고 믿는 꼰대스러움이 온 나라를 병들게 만들고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 특히, 모범을 보여야할 정치인들이 상대에 대한 배려나 존중 없이 내로남불식 언행으로만 일관하는 모습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패악은 심각한 수준이다.
세째, '역량'은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이고 문제 해결 능력이다. 직원들이 이러한 역량이 있어야 조직 성과를 높일 수 있다. 먼저 명확한 가치관 제시, 멘토링과 코칭 프로그램, 다양한 인사 평가제도, 성과에 따른 보상제도, 경영자와의 소통 시스템 등의 도입이 필요하다.
특히 서로 협업하는 능력, 갈등 조정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을 체계적인 역량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습득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직무 역량 분석을 통해 각 직무에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직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직원들에게 현장 실전경험을 제공하여 역량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
<한경닷컴 The Lifeist> 사단법인 한국강소기업협회 나종호 상임부회장(경영학박사)
"외부 필진의 기고 내용은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자 문의 : thepe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