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야 교수는 “출산율 하락세가 3년 이상 지속되면 반등은 고사하고 감소 흐름 자체를 막기 어렵다”며 “조세 혜택, 아동 건강보험 관련 혜택 등 양육을 돕는 다양한 금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본은 2010년대 들어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해 연 3조엔(약 27조원)에 달하는 재정을 쏟아부었다. 그 결과 출산율이 안정되긴 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작년 1.26명)에 머물러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쓰야 교수는 “저출산을 해소하기 위해선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은 30~34세 여성 중 미혼자 비중이 1975년 8%에 불과했지만 2020년엔 39%까지 급증했다. 50세가 돼서도 결혼하지 않은 여성 비중은 18%에 달했다.
여성의 초혼 연령과 미혼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고학력 여성이 많아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게 그의 분석이다. 다만 여성들이 일과 가정의 양립을 이루기 힘든 환경이어서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쓰야 교수는 “일본 여성은 결혼 후 평균 가사노동 시간이 세 배 이상 증가(주 8시간→27.4시간)하는 반면 남성은 감소(주 4.1시간→3.6시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과 가정의 균형을 맞추는 정책 지원을 통해 육아와 출산에 드는 비용을 줄여줘야 한다”고 했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