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토교통부 항공정보포털에 따르면 국내 항공사들의 올 상반기 중국 노선 여객회복률은 2019년 같은 기간의 21%에 불과했다. 미주 노선은 98.8%로 코로나 전의 상황을 대부분 회복했고, 일본 노선 회복률도 75.5%로 평년 수준에 근접했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다른 지역 노선은 급속도로 여객이 회복하고 있는데, 중국 노선만 예약률이 여전히 낮은 편”이라고 했다.
대한항공의 올 상반기 중국 노선 매출은 2199억원으로, 2019년 상반기(4621억원)의 절반에 그쳤다. 이에 따라 중국 노선 매출 비중은 2019년 12%에서 올 상반기 5% 안팎으로 주저앉았다. 아시아나항공은 2019년 191회에 달하던 중국 노선이 이날 기준 79회로 절반도 채 회복하지 못했다.
중국 정부는 여행비자 신청 시 부모 직업을 묻고 열 손가락의 지문을 모두 요구하는 등 까다로운 비자 발급 절차를 두고 있다. 비자를 받아도 외국인은 3성급 이상 호텔에만 머무르도록 강제했다. 이달부터 반간첩법이 시행되면서 관광객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사용 시 주의해야 한다. 한 직장인은 “중국 관광을 하고 싶어도 즐길 수 있을 것 같지 않아 일본으로 휴가를 다녀왔다”고 했다.
한국 기업들의 탈(脫)중국으로 비즈니스 수요가 줄어든 것도 중국 노선 회복이 더딘 이유로 꼽힌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올 상반기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주요 도시를 방문한 외국인은 코로나 이전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국내 항공사들은 하반기엔 중국 하늘길 빗장이 풀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중 수교 31주년(이달 24일)과 항저우 아시안게임(9월 23일~10월 8일) 등을 계기로 중국 정부가 관광에 우호적인 분위기로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정부가 긴급 상황에만 허용하던 비즈니스 목적의 비자 발급 규정을 더욱 완화하고, 중국을 자주 방문하는 여행객에게 비자 유효기간을 최대 3년까지 늘려주기로 했다고 지난 3일 보도했다.
강미선/김재후 기자 misunn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