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는 제약, 바이오, 의료장비·서비스로 구분된다. 유한양행, 한미약품 등이 포함된 제약업종의 최근 1년 수익률은 6.82%로 코스피(5.24%) 수준이다.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의 구미에 맞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대형 바이오시밀러 비중이 높은 바이오는 수익률(-3.17%)이 다소 부진하지만, 앞으로 턴어라운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의료장비·서비스 업종은 최근 1년 수익률(33.14%)이 코스피를 훌쩍 넘어서면서 최근 가장 뜨거운 섹터로 부상하고 있다. 미용 의료기기 제조업체 클래시스, 제이시스메디칼, 원텍, 파마리서치 그리고 인공지능(AI) 진단 기대감이 반영된 루닛, 뷰노 등 종목들이 포진하고 있다.
최근 출시되는 ETF도 상품별 투자 전략이 다르다. ‘KoAct바이오헬스케어액티브’엔 제약, 바이오, 의료장비·서비스 종목이 고르게 담겼다. 타임폴리오의 바이오액티브ETF 기초지수로 알려진 KRX헬스케어는 바이오시밀러 대형주가 포함된 바이오 비중이 절반 이상이다. 다만 액티브ETF가 담는 자산은 운용역 재량으로 달라질 수 있다. ‘SOL의료기기소부장Fn’은 의료장비·서비스 비중이 53.19%로 가장 높다.
신성호 증권부 연구위원 shsh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