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8/AA.34243937.1.jpg)
비슷한 규모의 LLM을 개발 중인 카카오와의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카카오는 올 10월 출시를 목표로 60억~650억 개 규모 LLM을 테스트하고 있다. 네이버가 이달 24일 선보일 하이퍼클로바X는 파라미터 2040억 개를 활용한다. 파라미터 수가 늘면 방대한 연산이 가능하지만, 구동 비용이 늘고 응답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특정 용도로 제한해 쓰기엔 중소형 LLM의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더 좋다. 이제희 엔씨소프트 최고연구책임자(CRO)는 “현재까지 공개된 비슷한 크기의 한국어 LLM 중 바르코의 성능은 최고”라고 말했다.
엔씨소프트가 LLM 시장에서 선점을 노리는 분야는 콘텐츠 창작이다. 이 회사는 다음달부터 이미지, 텍스트, 가상인간 등을 생성할 수 있는 AI 플랫폼인 ‘바르코 스튜디오’를 사내에 도입하기로 했다. 내년 상반기엔 이 플랫폼을 외부에도 공개할 예정이다.
엔씨소프트는 내년 3월 공개를 목표로 파라미터 수 1000억 개 규모의 멀티모달 LLM도 개발하고 있다. 멀티모달 LLM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영상 등도 분석·생성할 수 있는 AI다.
업계에선 생성 AI 서비스가 실적 부진으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엔씨소프트의 주가를 반전시킬 수 있을지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