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업계에 따르면 콜러노비타는 최근 신발 관리 가전 ‘슈매니저’를 출시했다. 슈매니저는 서랍 형태의 상·하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신발 종류, 생활 패턴, 가족 구성원에 따라 각각의 칸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신일전자는 ‘다목적 신발 건조기’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신발 건조를 위해 전용 호스와 건조 키트가 제공돼 젖은 신발 내부도 살균·건조가 가능하다. 코오롱글로벌은 ‘샤클라 신발 관리기’를 선보였다. 40~50도 저온 고속 열풍순환건조 방식을 채택했다. 중국 샤오미도 45도의 온도로 신발의 습기와 냄새를 제거하는 신발건조기를 내놨다.
신발 관리기 시장의 포문을 연 것은 대기업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4월 최대 네 켤레의 신발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신발 관리기 ‘비스포크 슈드레서’를 출시했다. LG전자는 3월 ‘스타일러 슈케어’를 출시했다.
신발 관리기 시장은 아직 관련 수치가 갖춰지지 않아 의류 관리기 시장을 선행지표로 삼고 있다. 국내 의류 관리기 시장은 2016년 7만 대 규모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70만 대까지 확대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문가들은 신발 관리기가 의류 관리기 성장세를 따라갈 것으로 보고 있다.
강경주 기자 qurasoha@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