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에 따르면 라임운용은 2019년 10월 자사 펀드에 대한 전면적 환매 중단을 선언하기 한 달 전인 9월 3일,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라임마티니4호 펀드’에 가입한 김 의원을 포함해 16명에게 펀드를 환매해줬다. 이들은 모두 미래에셋으로부터 환매를 권유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라임운용이 자기자본(4억5000만원)과 다른 펀드 자금(125억원)까지 동원해 환매 요구에 응한 만큼 특혜의 정황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해명 과정에서 김 의원과 이 원장 간 ‘진실 공방’도 펼쳐졌다. 김 의원은 “이 원장을 면담한 한 시간 동안 다섯 번에 걸쳐 ‘송구하다’고 사과했다”며 “금감원장이 진실을 알릴 때까지 금감원에서 농성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금감원은 기자단 공지를 통해 “이 원장이 김 의원에게 사과하거나 유감을 표명한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다.
한 전문 사모운용사 펀드매니저는 “당시 라임에 대한 각종 의혹 제기가 이뤄진 시점이었고, 2억원을 투자해 1억5400만원을 돌려받았다는 김 의원의 주장을 고려하면 환매 당시 25% 정도의 손실을 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며 “비공개 정보 없이도 합리적으로 환매를 권유할 수 있었던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라임이 왜 고유 자금과 다른 펀드 자금을 동원해 환매 요구에 응했는지가 ‘특혜 의혹’의 향방을 가를 쟁점으로 분석된다. 한 대형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국내 최대 증권사인 미래에셋증권이 시장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감안해 미래에셋 측 자산을 지키고, 당장의 고비를 넘기기 위해 무리한 환매에 나섰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미래에셋 측은 “당시 환매를 담당한 본사 직원은 고객의 직업이 국회의원인지 몰랐다”며 “김 의원을 포함한 16명의 고객에게 절차에 따라 환매를 권유했다”고 밝혔다.
전범진/선한결 기자 forward@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