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을 새로 맞추려면 렌즈를 세 번 압축해야 한다는 소리를 들을 즈음, 나는 물리적으로 시야를 온·오프할 수 있는 스위치로 안경을 사용하고 있었다. 난시가 심하면 카메라의 조리개를 과하게 연 것처럼 빛이 사방으로 퍼져 보인다. 안경 없이 야경을 바라보면 가로등이나 건물의 불빛 하나하나가 작은 불꽃놀이처럼 망울망울 퍼진다. 청소년기의 나는 울적한 기분이 들면 안경을 벗었다. 그럼 나를 슬프게 하는 일들이 뿌옇게 멀어지는 듯했다.
옵터는 사람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현실을 그들이 욕망하는 방향으로 왜곡한 ‘증강현실’을 제공한다. 자신의 옵터가 창출한 모습을 타인에게 공유할 수도 있다. 내가 원하는 모습대로 나를 인식하도록 타인의 옵터에 돈을 지불하는 방법이다. 나를 청초한 미인으로 꾸미고 충분한 돈을 냈다면, 다른 사람들도 나를 미인으로 인식한다.
소설 속의 주인공은 현직 대통령에게 반대하는 사람들이 모인 어느 크루즈를 방문한다. 그들은 법이 허용하는 수치 이상으로 옵터를 증폭하고자 배를 타고 영토 바깥을 떠돌며 살았다. 옵터가 수호하는 영역에서만큼은 그들이 원하는 주관적 현실이 유일한 현실이다. 그들이 지지하는 대통령이 당선됐고, 배 안은 갈등 없이 평화로웠다. 눈앞에서 돌고래가 뛰어노는 세상이 현실이 된다. 돈과 기술이 만들어주는 세속적이고 편협한 천국이다.
하지만 테드 창의 <숨> 속의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에 힌트가 있다. 여기서 사람들은 자신의 ‘라이프로그’를 촬영한다. 라이프로그를 들여다본 주인공은 자신이 기억하는 자기 모습이 객관적으로 틀렸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는 폭력적이고 기만적이었다. 그는 디지털 기억을 어떻게 활용해야 좋을지 깨닫는다. “정말 중요한 것은 당신이 옳았다는 걸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당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이것이 하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힘들 땐 안경을 벗고 쉬었다가도, 명료함이 필요할 때는 쨍한 현실을 받아들이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