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재정 기조 속에서도 정부가 편성한 내년 저출생 관련 예산은 올해보다 25% 이상 늘어난 17조5900억원에 이른다. 결혼 여부와 관계없이 아이를 낳은 집에 공공분양 혜택을 주는 ‘신생아 특공’, 주택 구입 및 전세자금 저리 특별대출, 두 자녀 이상 가구의 ‘다자녀 특공’ 등 주택 관련 예산 비중이 크다. 유급 육아휴직 기간도 1년 반으로 6개월 늘려 부모를 합치면 최대 3년까지 육아휴직이 가능하다. 현재 70만원인 부모급여도 100만원으로 올린다. 난임 검진 및 시술 지원도 확대한다.
관건은 저출생 대책의 효과다. 정부는 2006년부터 16년간 280조원을 저출생 대책에 쏟아부었지만 달라진 것은 없다. 무엇보다 심각한 건 청년들의 결혼·출산 기피다. 통계청이 지난 28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34세 청년 중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중은 36.4%에 불과했다. 더욱이 여성의 65.0%, 남성의 43.3%는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출산 기피 이유는 결혼자금 부족, 경력단절, 육아·사교육 부담 등 다양하다.
지금까지 경험으로 볼 때 특단의 대책, 특효약은 없다. 육아, 주택, 교육, 양성평등 등 다방면의 종합적 대책과 함께 저출생 및 인구 문제에 대한 청년세대의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 출산율의 획기적 반전이 없다면 한국의 미래는 암울하다. 기업, 정부, 군대, 경찰, 복지, 의료, 간병 등 사회 각 부분의 필수인력이 부족해지고, 궁극적으로는 국가 소멸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 그 암울한 미래는 바로 청년세대의 몫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