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배터리 과잉 생산…덤핑사태 재연되나

입력 2023-09-04 18:13   수정 2023-09-12 17:16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올해 중국 기업들의 배터리 생산량이 자국 수요의 두 배를 넘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막대한 정부 보조금을 등에 업은 중국 배터리 업체가 물량을 낮은 가격으로 해외에 쏟아내면 과거 태양광 패널 시장에서 벌어졌던 중국산 덤핑 사태가 배터리 산업에서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 배터리 산업 공급과잉 심각
파이낸셜타임스(FT)는 3일(현지시간) 원자재 시장 분석업체인 CRU그룹 데이터를 인용해 “중국 배터리 공장들의 생산 능력이 올해 1448GWh에 달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전기자동차 2200만 대 제조에 쓰일 수 있는 용량이다. 중국 내 배터리 수요 예측치인 636GWh의 두 배를 훌쩍 넘는다.

중국산 배터리는 지난해에도 과잉 생산됐다. 작년 중국 기업들의 배터리 생산량은 545.9GWh였다. 중국 내 전기차용 수요(294.5GWh)와 고정형 에너지 저장용 수요(84.3GWh)에다 수출 물량(68.1GWh)을 다 합쳐도 99GWh가량의 중국산 배터리가 남아돌았다.

FT는 “중국 업체들이 국가 보조금, 은행 대출 등 ‘무제한’ 화력을 토대로 배터리 공장 확장에 공격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평가했다. CRU 분석에 따르면 현재 중국 배터리 공장들의 평균 가동률은 55%에 불과하다. 이는 유럽 배터리 기업들의 경우 공장 가동률이 70% 이상이어야 금융권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것과 대조된다는 게 컨설팅 기업 리오모션의 분석이다.
중국산 저가 배터리 주의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올해 3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자국 배터리 업계의 ‘묻지 마’ 확장에 대해 경고했다. 하지만 중국 각 지방 도시는 배터리 생산 중심지로 거듭나기 위해 여전히 뜨거운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동안 발표된 중국의 배터리 공장 건설 계획을 취합하면 배터리 생산량은 2027년엔 중국 내 수요의 4배로 급증할 전망이다. 또 2030년이면 배터리 공급량이 중국의 모든 자동차가 전기차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용량의 2배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중국이 저가 배터리 공세에 나서면 서방과의 긴장이 고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한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FT에 “현재 양상은 중국이 과거 철강, 알루미늄, 태양광 패널 시장을 장악한 흐름과 비슷하다”고 지적했다. 해외 시장에서 중국산 저가 배터리의 물량 공세가 현실화할 것이란 우려다.

글로벌 광산기업 리오틴토의 전직 임원은 “알루미늄 업계가 겪은 사태와 매우 비슷하다”며 “중국 기업들은 시장 선점 이상의 장악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르노가 지분을 투자한 프랑스 배터리 스타트업 버코는 “2030년 기준 유럽에서는 500GWh의 배터리 공급 공백이 있을 전망이고, 이를 과잉 생산된 중국산이 채울 것”이라고 최근 유럽연합(EU) 관료들에게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웨덴 배터리 제조사 노르트볼트의 파트리크 안드레아손 전략 담당 부사장은 “유럽의 대용량 에너지저장 장치 부문이 중국발 수출 공세에 특히 취약하다”며 “중국의 저가 배터리를 대량 수입하면 유럽 업체들이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의 배터리 수요가 급증해 과잉 생산 우려를 줄일 수 있다고 반론하기도 한다. 중국이 석탄 화력에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전력을 저장하는 데 필요한 배터리 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분석이다. 골드만삭스는 중국 내 에너지 저장용 배터리 수요가 2030년까지 70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