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 증시 투자자들이 우량주를 편입한 상장지수펀드(ETF)에 주목하고 있다. 재무 구조가 건전하고 수익성이 안정적인 기업에 투자하는 퀄리티 ETF가 대표적이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AA.34434958.1.jpg)
다른 퀄리티 ETF도 순항 중이다. ‘인베스코 S&P500 퀄리티 ETF’(SPHQ)의 수익률도 올해 들어 19.4%를 기록하며 시장 수익률을 웃돌았다. SPHQ는 ROE, 순영업자산 변화, 부채 비율이 우수한 상위 100개 기업에 투자한다. AUM은 59억6600만달러로 퀄리티 ETF 중 세 번째로 많다.
JP모간체이스의 ‘미국 퀄리티 팩터 ETF’(JQUA)는 저렴한 수수료를 앞세워 20억달러를 끌어모았다. JQUA의 수수료율은 연 0.12%로 다른 퀄리티 ETF(평균 0.15%)보다 0.03%포인트 낮다. JQUA에는 JP모간이 자체 개발한 수익성 지표를 기준으로 상위 200여 개 기업이 담겨 있다.
다만 퀄리티 ETF가 시장 상황을 잘 반영하는 투자 수단이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주가수익비율(PER)과 같은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편입 종목을 선정하는 퀄리티 ETF가 많아서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