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한국국제아트페어(KIAF)-프리즈 서울’에서 만난 한 명품업체 관계자는 상품 판매에 별 도움이 안 되는 미술 후원 행사를 마련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글로벌 명품 브랜드와 경매회사의 미술 후원 행사는 올해 KIAF-프리즈의 가장 큰 볼거리이자 이야깃거리다. 한국의 미술 애호가를 대하는 방식이 일회성 팝업 행사 중심이던 과거와 크게 달라져서다.
세계 양대 경매회사 크리스티는 지난 5~7일 이태원 현대카드 스토리지에서 ‘헤드업: 앤디 워홀×바스키아’ 전시를 열었다. 장 미셸 바스키아가 그린 472억원짜리 ‘전사’ 등 세계적인 걸작들이 걸렸다는 소식에 1500여 명이 다녀갔다. 크리스티의 세계 10개국 지점 중 경매 프리뷰가 아닌, 순수 전시를 기획한 건 한국이 유일하다. 이학준 크리스티 한국 대표는 “크리스티 본사 차원에서 한국은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시장으로 생각해 다른 국가와 차별화된 기획을 한 것”이라고 했다.
프라다도 5~6일 서울 인사동 복합문화센터 ‘코트’를 빌려 ‘프라다 모드’ 행사를 열었다. 프라다 모드는 독일 아티스트 카르슈텐 횔러가 2008년 기획한 ‘프라다 더블 클럽’이 기원이다. 마이애미, 홍콩, 런던, 파리 등에서 열린 이 행사가 서울을 찾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밖에 에르메스, 루이비통, 디올, 발렌티노, 브레게, 샤넬 등이 자체 전시와 연계한 VIP 행사를 기획했다. 보테가베네타는 리움에서 열리는 강서경 개인전과 개막 기념 파티를 후원했다.
김보라/최지희 기자 destinybr@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