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가운데 노동생산성은 여전히 주요국 중 최하위 수준이다. 지난해 기준 OECD 37개국 중 33위다. 우리나라보다 낮은 나라는 그리스와 칠레, 멕시코, 콜롬비아뿐이다. 이처럼 낮은 생산성이 개선되지 않으면 2040년께부터 ‘경제성장률 0% 시대’가 고착화한다는 게 한국경제학회 전망이다.
가뜩이나 저출산·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가 빠르게 줄어드는 와중에 우리 경제가 추락하지 않으려면 생산성을 높이는 수밖에 없다.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 이후 표류 중인 근로시간 개편을 재추진하는 동시에 산업 현장의 법치 확립과 직무·성과급제 중심의 임금 개편을 통해 노동시장 유연성을 높이는 일이 시급하다. 하지만 번번이 ‘장시간 근로국’이란 선동적 프레임에 발목 잡혀 온 게 현실이다. 윤석열 정부가 근로시간 유연화를 추진하자 노동계는 “일하다 죽자는 것이냐”고 반발했다. 거대 야당은 “과로사 조장죄”라며 오히려 주 4.5일 근로제 도입을 들고나왔다.
이런 지점에 “이제 우리나라가 장시간 근로 국가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경총 주장은 의미심장하다. 생산성 회복을 위한 노동시장 개혁 없이 근로시간을 제약하거나 유연화를 가로막는 규제는 국가를 나락으로 내모는 집단 자해 행위라는 지적이다. 노동계는 물론 정부와 정치권 모두 귀 기울여야 할 대목이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