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AA.34534297.1.jpg)
저시력 시각장애인도 TV를 볼 수 있도록 돕는 삼성전자의 ‘릴루미노 모드’ 임상시험에 나선 한 참가자의 소감이다. 릴루미노 모드는 이미지의 가장자리를 강조해 명암, 색, 선명도 등 화질을 더 강하게 표현하는 기술이다. 눈이 전혀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을 제외한 1~6급 시각장애인이 TV를 더 명확히 볼 수 있도록 돕는다.
삼성전자는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TV 시청에 주목했다. 역설적으로 이들이 TV를 보는 시간이 굉장히 길기 때문이다. 주변 환경이 잘 보이지 않는 시각장애인에게 TV 시청은 집 안에서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대표적 여가 활동으로 꼽힌다.
릴루미노 모드 기술은 올해 2023년형 네오 QLED TV에 처음 적용돼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사내벤처가 개발한 기술로 2017년 처음 공개됐을 때는 안경 형태의 웨어러블 기기였다. 이후 본격적인 개발 과정을 거치며 TV 모드 중 하나로 들어갔다. 삼성서울병원과 협력해 67명의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거쳐 세상에 나왔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AA.34534295.1.jpg)
툭 튀어나온 버튼이 없어지며 생긴 불편함도 보완했다. 최근 디자인 유행에 따라 대부분 가전제품은 양각 처리 없이 발광다이오드(LED) 터치 형식의 버튼만 들어간다. 시각장애인은 버튼의 위치나 기능을 알기 어렵다. 정수기에서 냉수와 온수 버튼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모든 가전에 부착해 쓸 수 있는 공용 점자 스티커를 무상 배포하고 있다. 전원, 동작 및 정지, 와이파이 등 10가지 아이콘과 점자로 구성돼 있다.
청력이 약한 사람을 위해선 ‘TV 소리 함께 듣기 기능’을 추가했다. 청력이 떨어진 고령자가 TV 소리를 키우면 함께 TV를 보는 가족이나 주변 이웃은 불편을 느낀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LG전자는 TV 스피커와 블루투스 헤드셋 등에 음향을 동시 출력할 수 있게 했다.
최예린 기자 rambut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