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600만원' 기본소득에 집도 공짜…돈 뿌리는 부자 나라 [글로벌 新자원전쟁②]

입력 2023-09-18 15:08   수정 2023-09-18 16:17

[글로벌 新자원전쟁]
②신흥 자원부국의 부상과 지정학 질서 변화



카타르 국민은 정부로부터 월 500만~600만원의 기본소득을 받고 집도 무상으로 받는다.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길거리는 레인지로버와 벤틀리 등 최고급 차량으로 가득차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1000조원의 국부펀드로 전세계에 돈을 뿌리고 있다.

신자원전쟁의 결과로 에너지 전환이 가속화되면 그동안 누려온 중동 국가들의 번영이 지속될지 여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00년 전까지 농사도 못 짓는 사막에서 가난하게 살던 아랍 민족들 가운데 몇몇은 서방의 비호 아래 막대한 부를 쌓았다.

화석 연료 사용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사우디가 지금처럼 중국·러시아에 접근해 외줄타기를 할 경우 미국이 어느 순간 사우디와의 관계를 재고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외교전문매체 포린어페어는 “사우디가 스스로를 미국에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 강대국으로 여긴다”고 꼬집었다.

사우디 옆에는 전쟁에 휘말리거나(이란·이라크)와 내전에 시달려(시리아·예맨) 발밑에 석유를 두고도 어렵게 살며 분노를 키워온 이웃국가들이 있어, 중동은 여전히 지구촌의 ‘화약고’로 꼽힌다. 서방이 손을 뗄 경우 중동 정세가 급변할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지난해부터 사우디가 원유 감산을 주도해 글로벌 물가를 자극하고 중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등의 행태를 보이자 미국 정치권에선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밥 메넨데스 상원의원은 “사우디와의 모든 협력을 즉각 중단하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인류의 석유 사용이 예상보다 빠르게 감소하면, 다른 산업 기반이 미미한 중동 국가들이 몰락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 때문에 사우디는 자국 내 구리와 리튬 등 친환경 광물 광산개발을 추진하는 한편 미국과 손잡고 아프리카 광물자원 확보에 나서는 등 발빠르게 '탈석유'에 대비하고 있다. 전세계 투자해 놓은 국부펀드에서 나오는 수입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석유 사용이 지속되면서 중동의 힘은 더 강해질 것이란 반대 예상도 있다. 저개발 국가의 경제 성장이 이뤄지면서 석유 수요는 꾸준히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선진국들이 가난한 국가에 값비싼 재생에너지를 강요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와엘 사완 쉘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월 “석유와 가스 생산을 중단해 생활비가 다시 치솟기 시작하면 파키스탄이나 방글라데시와 같은 가난한 국가는 감당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현일 기자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