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AA.34574445.1.jpg)
경기 안산시가 제조업 중심인 도시 경제를 신산업으로 개편해 첨단도시로의 성장을 꾀한다. 이를 위해 시는 안산사이언스밸리 일원의 경제자유구역 최종 지정을 이뤄내기 위해 시정을 집중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은 첨단기업 유치로 경기 침체를 극복하고 인구 유입 효과까지 일거양득 효과를 보기 위한 시의 핵심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시가 핵심 전략 추진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한 결과 지난해 11월 상록구 사동 안산사이언스밸리 일원이 경기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을 위한 개발계획 용역대상지로 최종 선정됐다. 시가 신청한 대상지는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 혁신파크와 경기테크노파크, 사동공원 등을 포함한 총면적 3.63㎢ 규모다.
안산사이언스밸리지구는 한양대 에리카와 경기TP를 중심으로 200여 개의 중소·벤처기업, 4600여 명의 연구원이 근무하는 집적 연구단지다. 산학연 혁신생태계 구축이 가능해 경제자유구역의 정책 방향에 부합한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09/AA.34609567.1.jpg)
시는 안산시의회, 한양대 에리카, 경기TP, 한국산업기술시험원, LG이노텍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추가 지정에 대비하고 있다.
시는 또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속력을 내기 위해 시 도시디자인국장을 단장으로 하는 경제자유구역 지정 태스크포스(TF) 추진단도 구성했다. TF 추진단은 협약기관과 실무협의회를 운영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한 지역 기반산업 발전 방안을 강구하는 것은 물론, 산학연 혁신생태계 조성 등을 내실 있게 추진하고 있다.
시는 올해 상반기 경기도와 공동으로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개발계획(변경)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내년 상반기 경기도에서 산업통상자원부에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으로 기존 반월공업도시 이미지를 벗고 ‘경제자유도시’로 전환해 대한민국 미래산업을 선도하는 혁신도시 안산을 조성하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장기적으로 경제자유구역이라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해 핵심전략산업 발굴 용역을 진행한 뒤 인공지능(AI)·로봇·스마트제조·신재생에너지 등의 산업군을 도출하고 이를 첨단로봇·제조 분야로 구체화한다는 전략이다. 이는 한양대 에리카 등 지역 혁신기관과 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어 지역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로봇 관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이민근 안산시장은 “산업현장 혁신을 위해 지역 내 우수한 산학연 인프라와의 유기적 연계를 기반으로 로봇을 활용한 산업의 첨단화를 도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노후화된 산업현장의 혁신을 도모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