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687371.1.jpg)
김 사장은 “한전이 너무나도 어렵다”고도 했다. 여당과 기획재정부에서 물가 상승을 이유로 요금 조정에 난색을 나타내는 데 대해선 “전기요금이 적절하지 않으면 에너지 과소비와 더 많은 에너지 수입을 초래하고, 환율을 밀어 올려 결국 물가에 부담을 주게 된다”며 “한전이 차입을 늘리면 채권금리 인상 요인이 생기기 때문에 그 또한 국민 경제에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인상 폭과 관련해선 “당초 정부 계획대로라면 올해 ㎾h당 45.3원을 올려야 했지만 19.4원(기후환경요금 1.7원 제외)밖에 올리지 못했다”며 “25.9원을 더 올려야 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언젠가는 회사채를 비롯해 차입도 한계에 부딪힐 것이고 그렇게 되면 한전이 하는 모든 일이 결국 중지될 것”이라고도 했다.
한전의 자구 노력 이행도 강조했다. 지난 5월 발표한 25조7000억원의 재무개선 계획 중 현재까지 9조4000억원을 이행했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한전도 국민들의 협조를 얻기 위해 특단의 추가 자구안을 검토 중”이라며 “2~3주 안으로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한전공대(한국에너지공대) 지원에 대해선 “에너지공대법에 규정돼 있긴 하지만 그것은 한전이 정상적인 상황일 때 이야기”라며 “한전 임직원의 임금까지 반납하는 상황에서 당초 약속한 대로 지원할 수는 없다”고 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