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평가받던 3M이 퇴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공격적인 연구개발(R&D)로 신제품을 쏟아내던 과거와 달리 단기 수익 개선에만 매달리면서 실적 악화의 늪에 빠졌다는 지적이다. 시장에선 3M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갈랐다고 평가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734473.4.jpg)
지난 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3M의 혁신성이 퇴보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카치테이프, 포스트잇, 비디오테이프 등 히트 상품을 내놓던 과거와 달리 신제품 출시를 주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신제품 출시 빈도는 줄었고, 개발 속도도 느려졌다. 존 바노베츠 3M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양보다 질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1902년 광산업체로 출발한 3M은 공격적인 R&D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스카치테이프, 산업용 방진마크스, 포스트잇을 내놓는 등 다수의 히트 제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1949년부터 18년간 3M 회장으로 재직한 윌리엄 맥나이트가 이 같은 혁신 기반을 다졌다.
맥나이트 회장은 세 가지 경영 원칙을 세웠다. ‘10%, 30%, 15% 룰’이다. 최근 1년 내 개발한 신제품 매출이 총매출의 10%를 차지하고, 4년 내 개발한 신제품이 매출의 30%가 돼야 한다는 원칙이다. 두 원칙을 뒷받침하기 위해 연구원들에게 업무시간의 15%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제도도 마련했다.
혁신을 장려하는 3M의 기업문화는 2018년 마이크 로만 최고경영자(CEO)가 부임하면서 퇴색했다. 경영진이 연구팀의 신제품 개발안을 등한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신제품 개발 대신 기존 제품의 점진적 개선을 우선시했다.
이 같은 경영 전략으로 R&D 투자도 줄었다. 매출 대비 R&D 비용은 2017년 5.8%에서 지난해 5.4%로 0.4%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판매 및 관리비는 급증했다. 2017년 65억7200만달러에서 지난해 90억3700만달러로 5년 새 37% 늘었다. 39년간 3M에서 재직한 로버트 애스무스는 “3M의 고위 경영진은 (시장의) 승자와 패자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착각에 빠져 있다”며 “더 많은 시제품을 생산한 뒤 어떤 제품이 성공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3M의 경영 실적은 악화했다. 2018년 3M의 영업이익률은 23.5%에서 지난해 21.6%로 1.9%포인트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3M 실적이 더 악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신사업 경쟁력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CD) 시장을 지배하던 3M의 다층 광학 필름은 퇴출 위기에 내몰렸다. 내외부 연구진의 비판에도 3M 경영진은 R&D 투자 대신 고강도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다. 로만 CEO는 올해 두 차례에 걸쳐 총 8500명을 감원했다.
주가 흐름도 부진하다. 2018년 로만 CEO가 취임한 이후 지난 5일까지 3M 주가는 53.32% 하락했다. 올 들어선 26.28% 떨어졌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