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695862.1.jpg)
AI 음성인식과 지능형 대화기술을 접목한 AI음성봇은 자동차사고 운전자에게는 계약사항, 할증기준 등을 안내하고 사고 피해자에게는 본인확인, 보상한도금액, 치료방법, 진단기간 만료 등의 안내를 하게 된다. 현대해상은 기존에도 AI음성봇을 통해 보험계약대출 서비스와 완전판매모니터링을 해 왔다. 자동차보상 업무에 AI음성봇 기술을 적용한 건 보험업계 최초다. AI음성봇 적용으로 반복적인 안내 업무를 효율적으로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기존에는 자동차 사고를 접수하면 상담원과 보상직원이 고객에게 전화해 사고 관련 사항을 일일이 설명했다.
고객은 사고처리와 보상내역 등을 이전보다 빠르게 전달받을 수 있어 사고 이후 불안과 궁금증을 빠르게 해소할 수 있게 됐다. 임진주 현대해상 자동차보상본부장은 “AI음성안내 시스템을 통해 고객 안내 신속성과 직원 업무 효율 모두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대해상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자동차보상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현대해상은 이 밖에 여러 디지털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2018년 디지털 관련 전담부서를 신설했고, 2019년에는 대표 직속 본부로 승격시켰다. 스마트폰으로 지문을 촬영해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지문인증 전자서명’ 시스템을 도입한 게 대표적인 성과다.
기존에는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른 경우 전자청약이 불가능했는데, 현대해상은 피보험자의 지문인증을 통해 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했다. 고객 편의와 종이 절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다. 현대해상은 국내 최초로 네이버 검색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AI챗봇도 운영하고 있다.
현대해상은 2020년 온라인 소통 채널인 ‘디지털파트너센터’를 오픈해 보험업 이외에도 미래 신성장 동력 발굴 관점에서 다양한 스타트업과 제휴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 스타트업을 발굴 및 분석해 투자를 집행하는 적극적 투자도 추진 중이다.
현대해상은 올해 7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성과를 담은 통합보고서를 발간하고 ESG 관점에서 투자 대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를 자체 개발하기도 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