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834792.1.jpg)
19일 미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 8~14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전주 대비 1만3000건 감소한 19만8000건으로 올해 1월 15~21일 주간(19만4000건) 이후 9개월 만의 최저치였다.
전날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9월 소매판매도 예상보다 강세를 보이며 Fed의 추가 긴축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미국의 9월 소매판매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달보다 0.7% 늘어난 7049억달러로 집계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추정치인 0.3%를 웃도는 수준이다. 전달 수치도 0.6% 증가에서 0.8% 증가로 수정됐다.
여기에 미국 연방정부는 예산 지출을 감당하기 위해 국채 발행을 늘리고 있다. 2023회계연도(2022년 10월~2023년 9월) 적자 규모가 2조달러를 넘어선 데다 최근엔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을 동시에 지원하기 위해 추가 예산을 편성해 의회에 제출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뉴욕 월가에서는 미국 재정 건전성 문제도 미 국채 금리를 끌어올리는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일본과 중국 등이 환율 방어를 위해 미 국채를 매도하는 것도 금리를 상승시키는 요인이다.
미 국채 금리는 앞으로 더 오를 가능성이 작지 않다. Fed가 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수도 있어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19일 오전 3시 기준 연방기금(FF) 금리 선물시장에서 11월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3.9%다. 하지만 12월엔 Fed가 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가능성을 36.8%로 보고 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간체이스 최고경영자(CEO)는 Fed가 현재보다 금리를 1.5%포인트 더 올려 연 7%로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어소시에이츠의 창업자 레이 달리오는 “정확하게 이야기하긴 어렵지만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가) 연 5% 정도면 더 높아진 리스크를 감안할 때 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