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856201.1.jpg)
테슬라의 유럽 첫 번째 공장인 ‘베를린-브란덴부르크 기가팩토리’는 작년 3월 우여곡절 끝에 문을 열었다. 브란덴부르크주 정부의 인허가 절차가 지연돼 당초 계획보다 1년 가까이 가동을 늦춰야 했다. 당시 테슬라가 주정부에 제출한 서류는 최소 2만5000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관료주의가 덜하면 좋겠다”며 독일 정부를 꼬집어 비판했다.
지난 2일 방문한 프랑크푸르트 A은행에서도 독일 관료주의의 단면을 엿볼 수 있었다. 입구부터 10m 넘게 이어진 복도 양옆으로 각종 서류가 빼곡히 찬 책장이 늘어서 있었다. 독일 금융당국 감사에 대응하기 위한 자료를 모아둔 것으로, 따로 마련된 서고에도 서류가 한가득이었다.
고질적인 관료주의가 독일 기업을 옥죄고 있다. 독일 당국의 까다로운 요구사항과 복잡한 행정 절차, 거미줄 규제에 가로막혀 글로벌 혁신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딘 디지털화 속도도 각종 비효율을 초래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857579.1.jpg)
프리돌린 스트랙 독일산업협회(BDI) 글로벌시장 실장은 “독일인은 디테일에 강하고 모든 것에 규칙을 세우는 것을 좋아한다”며 “이런 점이 독일을 엔지니어링 강국으로 만들었지만, 디테일에 집착한 나머지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하는 측면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관료주의는 혁신 기업이 독일에서 탄생하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으로 꼽힌다. 세계은행(WB)에 따르면 독일은 창업의 용이성을 측정하는 기업환경평가에서 190개국 중 125위(2020년 기준)에 그쳤다. 영국(18위), 프랑스(37위)에 한참 못 미친다. 이탈리아와 그리스에선 기업이 영업허가를 받기까지 40일이 걸리지 않지만 독일에선 120일 이상 소요된다.
라인트 그로프 라이프니츠할레경제연구소(IWH) 소장은 “파괴적 혁신은 테슬라와 같은 젊은 기업에서 나오는 것인데 독일의 비효율적인 행정 절차는 창업을 돕는 게 아니라 오히려 방해하고 있다”며 “자유로운 시장 진입 등 기업의 역동성이 미국과 다른 유럽 국가에 비해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지난달 “관료주의의 곰팡이를 제거해 성장을 촉진시키겠다”며 대책을 발표했다. 기업의 장부 보관 기한을 10년에서 8년으로 줄이도록 하고, 내국인 호텔 투숙객에 대한 등록서 작성 의무를 폐지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하지만 독일의 악명 높은 관료주의를 뿌리 뽑기 위한 개혁으로선 강도가 약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프랑크푸르트=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