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866453.1.jpg)
박기성 시큐웍스 대표는 “특정 주파수 소리를 내장 스피커로 방사하고 마이크로 수신해 인공지능(AI)이 실시간 음장 스펙트럼 변화를 분석한다”며 “이상 온도, 동작, 가스 분출, 열 폭주, 먼지 유입 등 다양한 공간의 변화를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해 위험을 예방하는 솔루션”이라고 23일 밝혔다.
시큐웍스는 이 기술을 적용한 화재 조기감지시스템, 산업현장 중대재해시스템, 국방 및 공공기관 무인경계시스템을 주로 공급하고 있다. 이런 솔루션은 차폐물 후면의 발화 등 사각지대 없이 감지할 수 있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전조 증상을 감지해 화재 등 중대재해가 발생하기 전 예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박 대표는 “기존 온도감지기의 경우 화재로 주변 온도가 섭씨 70도 이상 돼야 화재 여부 판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결국 화재가 확산된 뒤에야 감지할 수 있는 게 한계”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AI 음장 솔루션은 화재 발생으로 인한 온도 변화 자체를 감지하기 때문에 국소 부위의 이상 온도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모듈 및 소프트웨어 형태로 사물인터넷(IoT) 제품과 연동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런 기술력을 토대로 ‘배터리 열 폭주 조기 감지를 통한 모빌리티 화재 조기감지 시스템’을 개발해 여러 자동차 배터리 제조사와 비밀유지협약을 맺고 실증 테스트를 하고 있다. 앞으로 전기차 배터리, 전기차 충전소,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및 폭발 위험 사전 감지 시스템으로 제품군을 적극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시큐웍스는 지난해 열린 ‘2022 대한민국 안전기술대상’에서 대통령상을 받았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