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경제 성장의 엔진이 돼 온 주력 산업계가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안드레아스 라데 독일자동차산업협회(VDA) 매니징디렉터는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DW)에 “최근 설문조사에서 응답 기업 중 4분의 3 이상이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며 “고숙련 인력 부족이 독일 차업계의 핵심 도전 과제로 떠올랐다”고 말했다. 독일 수출의 핵심 축을 담당해 온 기계공업 부문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독일기계공업협회(VDMA)의 임원인 틸로 브로트만은 “2021년부터 상황이 계속해서 악화해 왔고, 이는 곧 경제 성장세 둔화로 직결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독일경제연구소(IW)와 컨설팅 업체 PwC에 따르면 독일 반도체업계에는 이미 6만2000명의 숙련공이 부족한 상황인데, 인텔 TSMC 등 독일에서 신설·확장되고 있는 공장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선 근로자 35만 명이 추가로 필요할 전망이다.
독일 정부가 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민 정책에 사활을 걸었지만, 외국인 노동자에게 독일은 점점 더 매력적이지 않은 나라가 돼 가고 있다. 독일어를 고수하는 문화, 고율의 세금 등으로 정착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이유에서다. 프랑크푸르트에 거주 중인 박모씨도 “독일에서 한 번이라도 집을 구하거나 계좌를 터본 사람이라면 이곳에 정을 붙이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독일의 인적자원 경쟁력 순위는 2019년 12위에서 2023년 15위로 4년 만에 세 계단 하락했다.
뮌헨=장서우 기자 suwu@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