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887127.1.jpg)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25일 “기회가 주어지면 대통령과 거침없이 이야기하겠다”고 밝혔다. 여권 지지율 하락의 원인으로 꼽힌 ‘수직적 당정 관계’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첫 일정으로는 광주 5·18 민주묘지 방문을 꼽으며 ‘통합’ 메시지를 강조했다. 정치권에선 ‘인요한 혁신위’가 ‘영남권 물갈이’에 이어 ‘윤핵관 퇴진론’ 등 강도 높은 쇄신책을 꺼낼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진복 대통령실 정무수석도 이날 당사에서 인 위원장을 예방한 뒤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은 행정을 하고 국가 정책을 만드는 곳이지, 당 운영과 관계없다”며 “당 조직을 관리하는 건 대통령실과 논의할 필요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간 정치권에선 여권 지지율 하락과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참패의 원인으로 ‘수직적 당정 관계’를 꼽았다. 김기현 대표가 보선 패배 직후 “당과 정부, 대통령실과의 관계를 보다 건강하게 하겠다”고 말한 것도 이런 이유다. 당 지도부의 한 인사는 “누차 말했듯 위원장에게 전권을 맡기는 게 기본 방침”이라고 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887150.1.jpg)
변화를 두고는 여권 텃밭인 영남 지역 쇄신론이 제기된다. 3선 이상 영남권 중진 의원을 향한 ‘험지 차출론’과 ‘용퇴론’ 등이 대표적이다. 부산에서 3선을 한 장제원 의원과 울산을 지역구로 둔 4선의 김 대표도 대상이 될 수 있다. 한 중진 의원은 “결국엔 (영남 퇴진론이) 나오지 않겠느냐”며 “여의도 정치권에 부채가 없는 대통령 입장에선 내심 혁신위가 당을 대대적으로 개혁해주기를 바랄 수 있다”고 했다. 수도권의 한 의원도 “지지율 회복이 안 되면 연말께 ‘윤핵관 퇴진론’까지 나올 수 있다”며 “지도부가 이유 없이 혁신안을 받지 않으면 우리 당은 다같이 죽는 것”이라고 했다.
친윤계 핵심 인사는 “혁신위가 안을 내놓으면 지도부가 받을 것”이라면서도 “제도를 이해하지 못한, 받을 수 없는 혁신도 있을 수 있다”고 했다. ‘중진 퇴진론’에 대해선 “지역 주민이 선출한 것을 왜 혁신위가 결정하느냐. 혁신이 아니라 개악”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르면 26일 혁신위원 인선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하마평에 오른 하태경 의원, 김용태 전 청년최고위원, 김준용 국민노조 사무총장, 김경율 회계사 등은 내정 여부를 부인했다. 일각에선 ‘맹탕 혁신위’가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천하람 순천갑 당협위원장은 이날 한 라디오에서 혁신위원 참여를 제안받았으나 거절한 이유에 대해 “시간벌기용 허수아비 혁신위원 이런 것은 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양길성/박주연 기자 vertig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