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게이자이신문과 요미우리신문은 WD가 자사 반도체 부문과 키오시아홀딩스를 합병하기 위해 진행하던 협상을 중단했다고 27일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WD가 지난 26일까지 키오시아에 협상 중단을 통보했다고 전했다. 당초 두 회사는 이달 말까지 합병 협상을 성사시킬 예정이었다.
합병이 결렬된 것은 키오시아에 간접 출자한 SK하이닉스의 동의를 얻지 못한 데다 최대주주인 미국계 사모펀드(PEF) 운용사 베인캐피털과도 조건이 맞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이 신문은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2018년 베인캐피털이 키오시아(당시 도시바메모리)를 인수할 때 간접투자자 형태로 참여했다. 총 3950억엔(약 3조5778억원)을 투자했는데 2660억엔은 베인캐피털 펀드에 출자했고, 1290억엔은 전환사채(CB) 형태로 투자했다.
키오시아 주주는 베인캐피털(56.2%), 도시바(40.6%), 호야(3.1%)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같은 인수 구조로 인해 키오시아와 WD의 합병에는 SK하이닉스의 동의가 필요하다.
키오시아와 WD가 합병하면 업계 지도가 바뀌게 된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 2분기 세계 낸드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31.1%), 키오시아(19.6%), SK하이닉스(17.8%), WD(14.7%)의 순이었다.
키오시아와 WD가 합병하면 합산 점유율이 34.3%로 삼성전자를 넘게 된다. SK하이닉스는 업계 4위로 처진다. SK하이닉스가 두 회사 합병에 반대한 이유다. 키오시아와 WD는 반도체시장 업황 부진에서 살아남기 위해 합병을 논의해 왔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