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929950.1.jpg)
카카오는 지난 3월 경쟁자인 하이브의 SM엔터 인수를 막기 위해 이 회사 주식을 시세조종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은 지난 26일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 등 세 명과 카카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넘겼다. 금융업계 일각에선 특사경이 김 창업자를 추가 조사한 후 구속영장을 따로 신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931377.4.jpg)
이번 회의에서 카카오는 현재 상황을 ‘최고 비상경영 단계’로 규정했다. 경영진이 참석하는 회의를 매주 월요일 열기로 한 것도 이 때문이다. 경영 혁신 방안을 주기적으로 논의해 고강도 준법감시 문화를 발 빠르게 확립하겠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김 창업자는 “최근 상황을 겪으며 나부터 부족한 부분을 반성했다”며 “더 강화된 준법경영 및 통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게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인 감시기구의 모습은 삼성이 2020년 독립 외부 감시기구로 꾸린 준법감시위원회와 비슷할 것이란 업계 전망이 나온다. 이 기구는 법조계 학계 등 외부 인사 위주로 구성돼 있다. 삼성은 26일 삼성SDI 삼성SDS에서 열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제도 도입을 결정했을 때도 준법감시위와 사전 협의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CA협의체의 공동체준법경영실만으로는 경영 투명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카카오 경영진이 판단한 것”이라며 “자율 경영에 익숙하던 계열사들도 준법감시 시스템을 마련하고 이를 검증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