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메가시티 서울’은 총선용을 넘어서는 주제다. 단지 김포시민을 서울시민으로 만드는 것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라는 얘기다. 메가시티는 핵심 도시를 중심으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면서 주변 지역과 기능적으로 연계된 인구 1000만 이상의 초거대 도시다. 도시의 덩치만 불리는 게 아니라 경제와 산업, 연구개발, 기업 활동, 교육·주거·사회·문화적 환경, 생태 및 자연환경, 교통 및 공공서비스, 안전성 등 다방면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게 중요하다. 메가 서울도 이런 관점에서 행정적 통합을 넘어서는 지역 간 기능적 연계를 통해 시민의 생활권과 경제권을 확대하고 시너지를 내는 게 중요하다.
세계 주요 도시는 치열하게 경쟁 중이다. 일본 모리기념재단 도시전략연구소가 발표하는 글로벌 파워도시지수(GPCI)를 보면 2022년 기준 도쿄가 3위, 서울 7위, 상하이 10위, 베이징이 17위다. 글로벌 전략컨설팅기업 AT커니의 글로벌 도시지수(2020년) 또한 도쿄 4위, 서울 17위, 상하이 12위, 베이징 5위다. 도시 경쟁력이 처지면 시민의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해외 자본의 투자 매력도 줄게 된다. 유엔에 따르면 2018년 33개인 전 세계 메가시티는 2030년 43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메가 서울 구상이 총선 논란에 갇히면 배는 산으로 가기 십상이다. 정치적 이해 득실을 떠나 국민 삶의 향상, 도시 경쟁력 제고를 기준으로 놓고 사안을 다뤄야 하는 이유다. 민주당도 문재인 정부 때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등 권역별 초광역 협력사업을 추진했던 만큼 정략으로 반대할 것이 아니라 주도적으로 논의에 참여하기 바란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