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0/AA.34942768.1.jpg)
여당 일각에선 공매도 한시 금지도 주장하고 있다. 3~6개월간 공매도 거래를 아예 막고, 이 기간에 제도 개선안을 마련해 시행하자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난색을 보이고 있다. 특정 투자 기법을 금지하는 강력 규제를 임의로 할 경우 글로벌 자금 유입을 저해할 우려가 있어서다. 국내에서 공매도가 한시적으로 전면 금지된 경우는 세 차례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 2020년 코로나발 증시 급락 때 등이다. 전부 명확한 글로벌 증시 불안이 이유였다.
당정이 앞서 추진한 MSCI선진국지수 편입 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은 선진국지수 편입 요건으로 공매도 전면 재개를 요구해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한국이 명확한 시장 근거가 없는 채로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면 글로벌 투자자들에겐 ‘신뢰할 수 없는 시장’으로 보일 수 있고 이들이 한국 비중을 축소할 빌미도 줄 우려가 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여당 등 정치권의 공매도 한시 금지 요구가 나와 마냥 무시할 순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런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이날 20명 규모로 공매도특별조사단을 출범한다고 밝혔다.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 10곳 이상에 대해 공매도 거래 전수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들여다보는 사건이 두어 건 있다”며 “연내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