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언급한 ‘최우선 탄핵순위’ 대상자는 며칠 전 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공개 거명된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이라는 게 정가의 중론이다. 취임한 지 고작 두 달여인 공직자가 얼마나 헌법·법률을 위반했다고 벌써 탄핵이라니, 누가 봐도 납득하기 어렵다. 바로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민주당은 ‘국정감사 후 한동훈 탄핵’을 공언했다. 그런데 국감이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자마자 다른 탄핵을 위협하고 나선 데서도 주먹구구식인 민주당의 탄핵 정치가 여실히 드러난다.
민주당이 거론해온 탄핵 대상은 한동훈, 이동관을 제외해도 열 손가락이 모자랄 지경이다. 이종섭 (전)국방부 장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박진 외교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등 국무위원은 물론이고 윤석열 대통령, 한덕수 총리 탄핵 위협도 스스럼없다. 헌정사상 첫 국무위원 탄핵(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청구가 만장일치로 기각됐는데도 반성은커녕 무책임한 행태를 버리지 못한다.
거대 야당의 탄핵 시도는 행정부를 넘어 사법부까지 압박하며 삼권분립을 위협 중이다. 기어코 헌정사상 첫 판사 탄핵(임성근 전 부산고법 부장판사), 첫 검사 탄핵(안동완 수원지검 차장검사)을 결행했다. ‘이재명 수사팀장’인 이정섭 수원지검 2차장, 이른바 ‘고발사주 의혹’의 손준성 대구고검 차장검사 등에 대한 방탄 탄핵 의지도 점차 노골화하고 있다.
절제해야 할 헌법 절차의 정치적 악용은 법치와 민주주의에 대한 심대한 도전이다. 민주당이 이렇게 우격다짐식으로 윤석열 정부의 국정 발목을 잡는 것은 우리 정치 수준을 막장으로 끌고 가는 것일 뿐만 아니라 정상적 방법으로 권력을 잡을 수 없는 정당임을 자인하는 꼴로 비칠 수도 있다. 절제와 자중을 당부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