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혜정 도교육청 정책기획관은 “2024년 예산안은 자율·균형·미래 기조하에 추진하는 경기교육 기본계획과 연계해 학교 교육력 강화를 위한 핵심 교육사업 중점 투자, 교육 현장의 여건과 사정에 맞는 재정 운용 자율성 강화 등에 중점을 둬 편성했다”고 밝혔다.
교육청은 예산 감소에 따른 건전재정 기조를 확립하면서도 핵심 교육사업에 집중 투자하기 위해 △에듀테크 활용 학력 향상 및 미래교육 체제 구축 △교육활동 보호 강화 △공교육 책임 확대 및 교육 사각지대 학생지원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등에 예산안을 집중 편성했다.
주요 세출 예산안은 △교육공동체 자율성 확대 2조 8846억원 △공교육 책임 확대 1조 3318억원 △교육 사각지대 학생지원 2580억원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3조 7111억원 △미래지향적 교육 행정 체계 구축 586억원 △학교 지원 행정 강화 12조 7461억원을 편성했다.
또 미래 교육 체제 구축 사업에 △지역교육협력 플랫폼(경기공유학교) 228억원 △미래교육협력지구 운영 155억원 △과밀학급·과대학교 해소 및 학생 통학 지원 4503억원 △기초지자체 교육협력사업 등 784억원 등을 편성했다.
아울러 교육공동체 자율성 확대 사업은 △공립 학교운영비 및 사립 운영비 재정지원 2조 7546억원 △사립유치원 지원 1140억원 △학원 및 평생교육 운영지원 145억원 등이다.
도교육청은 공교육 책임 확대 사업을 위해 △누리과정 지원 1조 67억원 △어린이집 급식비 등 유보통합 운영 681억원 △늘봄학교·돌봄교실·방과후학교 운영지원 1616억원 △특수교육 지원 954억원(특수교육 활성화 500억원 포함) 등을 편성했다.
이와 함께 △교육환경·시설안전 개선 1조 3743억원 △학교 신?증설 1조 384억원 △학교급식 운영 7639억원 등 건강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 사업에도 많은 예산을 할애했다.
학교 지원 행정 강화 사업은 △교직원 인건비 12조 1718억원 △BTL운영비 3601억원 △기관 기본 운영 및 시설관리 777억원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 408억원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296억원 △교육정책 기획 및 홍보 100억원 △예비비 350억원 등이다.
한편 도교육청이 제출한 2024년도 경기도교육비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은 오는 11월 7일부터 도의회 본회의에서 심의 예정이다.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