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 등은 김포의 서울 편입론에 대해 명확한 찬반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다만 “(서울 편입 시) 김포는 수많은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며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에서 참패한 국민의힘이 총선용으로 던질 사안이 아니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김포가 명품 자족도시로 거듭날 수 있다면 모든 길은 열려 있다”며 서울 편입 추진 자체를 명시적으로 반대하지는 않았다.
두 의원은 서울 편입 논의보다 교통 민원 해결이 우선이라며 △지하철 5·9호선 연장 △GTX-D 노선 서울 강남 연결 조기 확정 △올림픽대로 버스 전용차로 설치 및 확장 △일산대교 통행료 무료화 등을 요구했다. 아울러 “쓰레기매립장, 소각장 같은 기피 시설은 김포에 절대 설치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각종 교통 숙원 사업 해결 요구와 함께 기피 시설 불가론을 내세우며 서울 편입론에 흔들리는 김포 민심을 잡으려는 노력이다.
정치권에서는 “지난 13년간 민주당 소속 김포시장이 해결하지 못한 일을 이제 와서 정부·여당이 해결하라고 큰소리친다”는 비판도 나왔다.
한재영 기자 jyhan@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