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hankyung.com/photo/202311/01.35033439.1.jpg)
한국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의 밀도 있는 성장을 위해선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 규모가 보다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10일 서울 여의도동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3 글로벌 ETP 콘퍼런스'에서 정지헌 한국거래소 상무는 "ETF 시장 내 기관의 비중이 감소세에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이날 정 상무의 발표에 따르면 시장 참가자별 비중을 볼 때 국내 ETF 시장에서 현재 개인 투자자의 비중은 약 48%이고 유동성 공급자(LP)를 제외한 기관 투자자의 비중은 약 11%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들의 비중이 20% 안팎인 점을 감안하면 기관 비중이 많이 낮은 편이다.
이를 두고 정 상무는 "ETF 시장에서 개인 비중은 2020년 이후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는 반면 기관의 비중은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며 "유가증권시장과는 확실히 대조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 막 순자산 110조원을 넘어선 가운데 국내 ETF 시장이 지속적으로 고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선 연기금 등 기관들의 투자가 확대돼야 할 것"이라면서 "이 부분이 한국거래소와 업계가 공동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 상무는 국내 ETF 시장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기존 공모펀드 위주로 성장해온 발행사들도 꾸준히 이 시장에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고도 전했다.
이날 기준 현재 ETF를 발행한 운용사는 총 24곳이다. 정 상무는 연말 새로운 두 곳이 합류하게 될 것이라고 귀띔했다. IBK자산운용과 트러스톤자산운용이 다음 달 23일 첫 ETF 상품을 내놓으면서 시장에 데뷔할 예정이다.
정 상무는 "국내 전체 공모펀드 자산 중 ETF가 차지하는 비중도 꾸준히 느는 추세"라면서 "약 최근 3년 만에 두 배 수준인 35%까지 비중을 늘렸다. 이제 우리 공모시장의 한 축으로 제대로 자리매김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 상무는 퇴직연금의 상장지수상품(ETP) 상품 편입 범위 확대를 위해 정부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투자자 선택폭을 늘리고 ETP 시장을 더 키우기 위한 취지에서 다양한 우리 ETP 상품들이 퇴직연금 상품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부연했다.
성진우 한경닷컴 기자 politpeter@hankyung.com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
관련뉴스